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92
1292번: 쉽게 푸는 문제
첫째 줄에 구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정수 A, B(1 ≤ A ≤ B ≤ 1,000)가 주어진다. 즉, 수열에서 A번째 숫자부터 B번째 숫자까지 합을 구하면 된다.
www.acmicpc.net

import java.util.Scanner
fun main() {
val sc = Scanner(System.`in`)
var a = sc.nextInt()
var b = sc.nextInt()
var arr : IntArray = IntArray(1002)
var count = 1
for(i in 1..1000) {
for (j in 0 until i) {
if (count == 1001) break
arr[count] = i
count++
}
}
var sum = 0
for (i in a..b) {
sum += arr[i]
}
println(sum)
}
반응형
'Algorithm > [알고리즘]BACKJOON - Java&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Kotlin 10773번 : 제로 (0) | 2022.03.16 |
---|---|
백준 Kotlin 1748번 : 수 이어 쓰기 1 (0) | 2022.03.09 |
백준 Kotlin 1259번 : 팰린드롬수 (0) | 2022.03.06 |
백준 Kotlin 10989번 : 수 정렬하기 3 (0) | 2022.03.01 |
백준 Kotlin 2839번 : 설탕 배달 (0) | 2022.02.25 |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92
1292번: 쉽게 푸는 문제
첫째 줄에 구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정수 A, B(1 ≤ A ≤ B ≤ 1,000)가 주어진다. 즉, 수열에서 A번째 숫자부터 B번째 숫자까지 합을 구하면 된다.
www.acmicpc.net

import java.util.Scanner
fun main() {
val sc = Scanner(System.`in`)
var a = sc.nextInt()
var b = sc.nextInt()
var arr : IntArray = IntArray(1002)
var count = 1
for(i in 1..1000) {
for (j in 0 until i) {
if (count == 1001) break
arr[count] = i
count++
}
}
var sum = 0
for (i in a..b) {
sum += arr[i]
}
println(sum)
}
반응형
'Algorithm > [알고리즘]BACKJOON - Java&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Kotlin 10773번 : 제로 (0) | 2022.03.16 |
---|---|
백준 Kotlin 1748번 : 수 이어 쓰기 1 (0) | 2022.03.09 |
백준 Kotlin 1259번 : 팰린드롬수 (0) | 2022.03.06 |
백준 Kotlin 10989번 : 수 정렬하기 3 (0) | 2022.03.01 |
백준 Kotlin 2839번 : 설탕 배달 (0) | 2022.02.25 |